2016년 4월 9일 토요일

미쿠미쿠브릿지 사용법.

미쿠미쿠브릿지란?
미쿠미쿠 댄스의 모션을 다른 어플리케이션에서 읽어 들일수 있게 출력하는 플러그인 형태의 프로그램 되겠다.

설치방법.
미쿠미쿠브릿지 배포사이트에서 자산의 프로그램에 맞는것을 다운로드 받은뒤에 미무미쿠댄스가 설치된 폴더에 압축된 파일을 풀어주면 설치는  간단하게 끝난다.

주의 할점은 다른 플러그인과 같이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이글을 쓰는 본인도 미쿠미쿠브릿지가 설치된 상테에서 미쿠미쿠 이펙틀를 설치하면 미쿠미쿠 이펙트 메뉴만 활성화 되었다.

무언가 같이 쓰는 방법이 있기는 한것 같은데 아직은 모르겠다.

사용법.
활성화된 MMDBridge 메뉴를 누르면 설정 관련 메뉴에 フラグイン設定 이란 이름의 메뉴 아이템이 나온다.

그거 누르면 일본어를 뿜뿜하는데..

使用するスク(사용하는 스크[립트])  란을 보면 mmd 출력을 위한 스크립트들이 모여 있는것을 볼수 있다.

スクリプトの呼び出 란을 보면
 - 實行する
 - 實行しない
이렇게 아이템 나온다.

出力對象フレ  -  출력 프레임 구간인데 시작 프레임과 캡쳐 종료 프레임을 적어주면 된다.

フレームレート(AVI出力設定とおなじに 옆에 있는 숫자는 초당 프레임 수를 설정하는것이다.
이렇게 하면 완성이다.

당연히 실행한다로 바꾸어 주고 OK 버튼을 누른다.

이제 File 메뉴에서 Render to AVI file(V) 골라준다.

렌더링이 끝난뒤에 미쿠미쿠댄스가 설치된 폴더에서 out 폴더가 있을것이다. 여기 들어가보면 캡쳐된 파일들이 존재하다.

이제 파일로 원하는 작업을 속행하자.

글로 이해가 안된다면 이 영상을 보고 따라하자.

밖에 소소한 발견.

건들여 보니 스크립트 파일 이름을 그냥 py 확장자를 쓰면 읽어 들이는것 같다.

그래서 한글로 스크립트의 파일명을 바꾸면 해당 스크립트의 이름이 한글로 바뀌어서 표시가 바뀌게 된다 .